분류 전체보기
-
Z-Score이란?경제 2024. 9. 12. 16:19
Z-Score는 표준화된 값이라고 불린다. 특정 값이 평균에서 몇 개의 표준편차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낸다. Z-Score는 각 데이터 값(x₁)이 평균(𝑥̄)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표준편차(s)로 나눈 값이다.즉 ( x₁ - 𝑥̄ ) / s 다. Z-Score의 특징으로는1. 단위가 없다. 그냥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값이다.2. 평균은 0, 분산은 1이다. 3. 데이터 값들이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비교할 수 있는 거다. 즉, 값들의 상대적 위치를 측정한다. 만약 데이터 값이 평균보다 작으면, z-score는 음수가 된다. 즉, 그 값이 평균 아래에 있다는 거다.평균보다 크면 그 반대다.약 데이터 값이 평균과 같다면, z-score는 0이 된다. 만약 z-score가 2라면, ..
-
Skewness(왜도)란?경제 2024. 9. 12. 16:09
Skewness(왜도)는 데이터 분포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만약 데이터가 한쪽으로 쏠려 있으면 skewness 값이 0이 아닌 값을 갖게 된다. 이 그래프는 왼쪽으로 적당히 치우친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스큐니스 값이 -0.31이니까, 왜도가 음수인 거다.음수 왜도는 분포가 왼쪽으로 치우쳤다는 의미다.쉽게 말하면, 좌측에 이상치(극단값) 뜻이다.이렇게 왼쪽으로 치우친 분포에서는 평균이 중앙값보다 작을 가능성이 높다.왜냐면 작은 값들이 왼쪽에 몰려 있어서 평균이 그쪽으로 끌려가기 때문이다. 오른쪽으로 치우친 분포는 이와 반대다.
-
Scala로 WAE 정의하기컴공지식/프로그래밍언어론 2024. 9. 11. 15:51
WAE의 문법을 Scala의 case class를 사용해 정의할 수 있다. trait Expr case class Num(n: Int) extends Expr case class Add(lhs: Expr, rhs: Expr) extends Expr case class Sub(lhs: Expr, rhs: Expr) extends Expr case class With(name: Symbol, nameExp: Expr, body: Expr) extends Expr case class Id(name: Symbol) extends Expr 각 클래스를 설명하자면,Num(n: Int): 숫자를 나타내는 클래스로 Num(5)는 숫자 5를 의미한다.Add(lhs: Expr, rhs: Expr): 덧셈을 나타내는 클..
-
BNF로 식별자 정의하기컴공지식/프로그래밍언어론 2024. 9. 11. 15:40
식별자를 아무렇게나 지을 수는 없고, 규칙이 있어야 한다. ::= * ::= | ! | $ | _ ::= | ::= a | b | c | ... | z ::= 0 | 1 | 2 | 3 | ... | 9 규칙을 설명하자면,: 식별자는 로 시작하고, 그 뒤에 여러 개의 가 올 수 있다.: 식별자는 반드시 문자(letter), 특수 기호(!, $, _)로 시작해야 한다.: 이후에는 숫자(digit)나 다른 문자가 나올 수 있다. 다음은 규칙의 예시다.x123 // 올바른 식별자 (문자로 시작) $money // 올바른 식별자 (특수 기호로 시작) !value // 올바른 식별자 (특수 기호로 시작) 123abc // 잘못된 식별자 (숫자로 시작)
-
Bound and Free Identifiers (바운드/자유 식별자)컴공지식/프로그래밍언어론 2024. 9. 11. 15:30
식별자(Identifier)에 대해 더 깊이 들어가 보자.식별자에는 바운드 식별자(Bound Identifier) 와 자유 식별자(Free Identifier) 라는 개념이 있다. 바운드 식별자는 프로그램 내에서 값이 바인딩된(할당된) 식별자다.즉, 어떤 값에 연결된 변수라고 보면 된다.예를 들어, with 구문에서 변수가 값을 할당받으면 그 변수는 바운드 식별자가 된다.with {x {+ 1 2}} {+ x x} 여기서 x는 with 구문에서 {+ 1 2} 로 정의되고, 이는 3으로 계산된다. 이제 x는 3이라는 값에 바운드된 식별자가 된 거다.이후 x는 3으로 해석돼서, x + x는 3 + 3으로 계산된다. 자유 식별자는 프로그램 내에서 정의되지 않은(바인딩되지 않은) 식별자를 의미한다.자유 식별자는..
-
Arithmetic Expressions (AE)와 WAE컴공지식/프로그래밍언어론 2024. 9. 11. 15:27
산술 표현식(AE: Arithmetic Expressions)과 WAE (With Arithmetic Expressions)에 대해 설명해보겠다 AE는 가장 기본적인 산술 표현식이다.덧셈과 뺄셈 같은 간단한 산술 연산을 나타낸다.AE의 기본 요소는 다음과 같다.1. 숫자(Num): AE의 가장 기본적인 표현식은 숫자다. 예를 들어 5, 10 같은 값이다. 이를 추상 문법에서는 Num(5), Num(10)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2. 덧셈(Add): 두 개의 표현식을 더하는 연산이다. 예를 들어 {+ 5 3}은 5 + 3을 의미한다. 이를 추상 문법으로는 Add(Num(5), Num(3))로 나타낼 수 있다.3. 뺄셈(Sub): 두 개의 표현식을 빼는 연산이다. WAE는 with 구문을 도입해서, 변수를..
-
Inference Rules (추론 규칙)컴공지식/프로그래밍언어론 2024. 9. 11. 15:22
추론 규칙은 프로그래밍 언어나 수학에서 특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는지에 대한 논리적인 규칙이다.특히 Operational Semantics에서 이러한 규칙은 프로그램의 동작을 수학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추론 규칙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추론 규칙 예시 : H1 H2 ... Hn ----------------- C 1. 전제 (Hypotheses) 프로그램의 특정 조건을 나타낸다. 여기서 H1, H2처럼 표현되는 부분들이 전제다. 여러 전제가 있을 수 있고, 이들이 참일 때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2. 결론 (Conclusion) 전제들이 참이면, 그에 따라 도출되는 결론이다. C로 표시되며, 전제들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결과를 말한다..
-
Mat Operator컴공지식/컴퓨터비전 2024. 9. 9. 16:50
ROI(Region of Interest)에 대해 알아보자ROI 란 이미지에서 우리가 관심 있는 특정 부분을 선택하는 거다.마치 잘라내기다.다음은 ROI를 이용하는 코드다. int main() { Mat image = imread("lena.png"); // 이미지를 불러오는 부분 Rect rect(100, 30, 250, 300); // ROI 영역을 정의하는 사각형(x, y, 너비, 높이) Mat rect_roi = image(rect); // 이미지를 해당 ROI 부분만 자른다 imshow("rectROI", rect_roi); // 자른 부분을 화면에 보여준다 waitKey(0); // 키 입력을 기다리면서 창을 유지} 여기서 Rec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