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뮬레이터로 구글 로그인부터 SHA 인증서 발급까지..
긴 여정이었다.
애뮬레이터는 Select Device에서 Cold boot가 붙은 안드로이드 기기를 선택해주고
기기를 켜준다.

여기에 나오는 DISMISS는 눌러도 되고 안 눌러도 된다. 그냥 무시하는거임
참고로 플러터 프로젝트의 경로에 한국어가 있으면 디버깅 실행시 오류가 뜨니 주의할 것
기기를 키고 플러터 프로젝트의 터미널에 flutter run 을 입력해준다
그러면 처음에는 아래와 같은 상당히 오래걸리는 로딩이 시작되고

성공적으로 에뮬레이터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앱이 딱! 켜진다.
만약 firebase에서 SHA 인증을 안하면 구글 로그인을 하고자 해도 콘솔에 에러가 뜨면서 할 수가 없을 것이다.
SHA는 디지털 지문인데 각 컴퓨터마다 서로 다른 SHA 인증 키값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내 SHA 키는 무엇인지 어떻게 확인하는가?
cmd를 킨다.
cmd에서 cd를 통해
C:\Users\내유저이름\.android
로 이동한다.
이동한 후 다음과 같은 커맨드를 입력해주자
keytool -list -v -keystore debug.keystore
이렇게 입력했는데
' keytool'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라는 에러 메시지가 뜨면 jdk 환경변수 설정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이다.
환경 변수 편집에 들어가서 PATH의 환경 변수를 편집하여 jdk 경로를 추가해주자.
나같은 경우 jdk 경로가 제대로 설정이 되었지만 뒤에 \bin을 붙이지 않아 계속 에러 메시지가 떴었다..
왜냐하면 \bin에 keytool.exe라는게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성공적으로 keytool 커맨드가 입력이 되었다면 비밀번호를 치라고 나올 것이다.
다음을 직접 키보드를 이용해 입력해주면 된다.
android
그러면 자신의 컴퓨터의 SHA-1과 SHA-256 키 값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것들을 복사해서 firebase의 설정에서 SHA 인증서 지문에 디지털 지문 추가하기를 하면 된다.
그러면 구글 로그인도 완료되고 자신의 프로젝트에 진입할 수 있게된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