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ML 네임스페이스컴공지식/웹 2024. 9. 27. 13:28
XML 네임스페이스는 XML 문서에서 요소와 속성 이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서로 다른 출처에서 정의된 요소들을 하나의 문서에서 사용할 때, 각 요소가 어떤 출처에서 사용되는지를 구분한다.
이를 통해 동일한 이름의 요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며, XML 문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네임스페이스는 xmlns 속성을 사용하여 선언된다.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하는 방식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라이브러리나 모듈을 import하여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다.
프로그래밍에서 외부 라이브러리를 불러와 특정 기능을 사용할 때 import를 사용하는 것처럼, XML에서도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출처에서 정의된 요소들을 문서에서 함께 사용한다.
<root xmlns:h="http://www.w3.org/TR/html4/" xmlns:f="https://www.w3schools.com/furniture">
<h:table>
<h:tr>
<h:td>Apples</h:td>
<h:td>Bananas</h:td>
</h:tr>
</h:table>
<f:table>
<f:name>African Coffee Table</f:name>
<f:width>80</f:width>
<f:length>120</f:length>
</f:table>
</root>위 코드에서 h와 f는 각각 다른 네임스페이스를 나타낸다.
h 네임스페이스는 HTML4 관련 요소들을 나타내며, <h:table>, <h:tr>, <h:td>는 HTML의 표 관련 요소들이다.
f 네임스페이스는 가구 정보를 나타내며, <f:table>, <f:name>, <f:width>, <f:length>는 가구의 테이블 정보를 설명한다.
그럼 네임스페이스와 DTD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네임스페이스는 요소의 이름 충돌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DTD는 XML 문서의 구조와 규칙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네임스페이스는 URI를 통해 요소가 어디서 왔는지 명시하며, DTD는 XML 문서가 규칙에 맞게 작성되었는지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컴공지식 > 웹'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DATA와 CDATA의 차이 (0) 2024.10.11 XML DOM (0) 2024.10.08 XML DTD 정의 (0) 2024.09.26 DTD의 구성 요소 (1) 2024.09.20 Entity References란? (0) 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