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공지식/웹
-
버블링과 캡처링컴공지식/웹 2024. 11. 22. 13:22
캡처링 (Capturing Phase)이건 이벤트가 DOM 트리의 최상단(HTML 문서 자체)부터 시작해서 이벤트가 발생한 요소(타겟)까지 내려가는 과정이다.근데 보통 캡처링 단계에서 이벤트 핸들러를 추가하는 경우는 적다.. 왜냐면 캡처링은 그렇게 잘 쓰이지 않기 때문이다. 버블링 (Bubbling Phase)이건 반대로 이벤트가 타겟 요소에서 발생한 후, 그 이벤트가 부모 요소로 점점 올라가는 과정이다.버블링은 캡처링보다 훨씬 자주 사용된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이벤트 핸들링은 이 단계에서 처리되니까! document.addEventListener("click", handler, true); // 캡처링 document.addEventListener("click", handler, false); // ..
-
Superglobals란?컴공지식/웹 2024. 11. 19. 13:49
PHP에서 Superglobals는 전역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리 정의된 배열 변수들이다.$GLOBALS : 모든 전역 변수들을 한곳에 담은 연관 배열. $_SERVER : 서버와 실행 환경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배열.예 : echo $_SERVER['HTTP_USER_AGENT']; // 사용자의 브라우저 정보 출력 echo $_SERVER['SERVER_NAME']; // 서버 이름 출력 $_REQUEST : 폼 데이터를 $_GET, $_POST, $_COOKIE에서 다 가져옴. $_POST : HTTP POST 메소드로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 $_GET : URL 쿼리 문자열로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 $_FILES : 파일 업로드 정보를 담고 있음. $_ENV : 환경 변수를 저장하는 배..
-
php는 느슨한 타입 언어다컴공지식/웹 2024. 11. 19. 13:31
변수를 사용할 때 미리 자료형(데이터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PHP가 알아서 처리해 주기 때문에 이렇게 불린다.$age = 25; // 자료형 신경 안 써도 됨 $name = "ㅁㄴㅇ"; // PHP가 알아서 문자열(string)로 판단 $age = 25; // PHP가 알아서 정수(integer)로 판단 $height = 1.75; // PHP가 알아서 실수(float)로 판단 PHP에서는 변수가 처음에 어떤 자료형이었더라도, 나중에 다른 자료형의 값으로 바꿔버려도 오류가 안난다.$var = 123; // 처음엔 정수 $var = "Hello"; // 나중엔 문자열로 변경 $var = 3.14; // 또 나중엔 실수로 변경 다만 declare(s..
-
php에서 echo와 print컴공지식/웹 2024. 11. 19. 13:25
왜 echo를 쓰는게 더 좋은가?echo를 쓰는게 프로그램이 더 빠르게 돌아간다. 또한 echo는 쉼표(,)를 사용해서 여러 값을 한 번에 출력할 수 있다.echo "Hello", " ", "World!"; 다만 print는 쉼표를 사용할 수 없고, 항상 단일 값만 출력할 수 있다. $test = print("Hello"); echo $test; // 결과: Hello1이걸 보면 print가 1을 반환해서 hello뒤에 1이 붙는 것을 볼 수 있다.이처럼 print는 1을 반환한다.echo는 아무것도 반환 안하고
-
php에 관하여컴공지식/웹 2024. 11. 15. 13:25
PHP는 웹 개발에서 오랫동안 쓰여온 언어다.전 세계 웹사이트의 약 78%가 PHP로 구동되는데, WordPress나 Facebook 같은 유명 사이트들도 이걸 쓴다.이 언어가 인기 있는 이유는 라라벨(Laravel), 심포니(Symfony), 코드이그나이터(CodeIgniter) 같은 다양한 프레임워크가 있어서다.그리고 데이터베이스랑 HTML이랑 통합하기도 간단해서 초보자도 쓰기 편하다.특히 PHP 7 버전부터는 메모리 사용량이랑 성능이 훨씬 좋아졌다. 그래서 요즘 웹 개발에서 PHP의 중요성이 더 높아졌다. PHP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언어다.웹 페이지를 더 동적이고 상호작용하게 만들어주는 도구다.HTML만으로는 부족하니까 이런 언어가 필요하다.그리고 PHP는 무료고, 오픈 소스라서 누구나 쉽..
-
노드에 접근하는 법컴공지식/웹 2024. 10. 14. 22:02
HTML이나 XML 같은 문서에서 노드(node), 즉 태그나 요소들을 어떻게 접근할까 getElementsByTagName() 메서드를 사용하는 방법: 이 메서드는 특정 태그 이름을 가진 모든 요소들을 반환해준다.예를 들어, p 태그로 된 모든 요소를 가져오고 싶으면 document.getElementsByTagName("p") 이렇게 쓴다.노드 트리를 순회하는 방법: 반복문을 돌려 모든 노드를 순회한다.노드 관계를 통해 탐색하는 방법: 이건 부모, 자식, 형제 노드 같은 관계를 이용해서 트리를 타고 다니는 거다. 일단 예시를 또 살펴보자x.getElementsByTagName("title"); 요소 안에 있는 title 태그들을 찾는 거다.xmlDoc.getElementsByTagName("titl..
-
XML 스키마에 대해서컴공지식/웹 2024. 10. 12. 00:37
일단 어떻게 생긴지 먼저 봐야하지 않겠나 http://www.w3.org/2001/XMLSchema"> ..
-
[XML]DTD와 스키마컴공지식/웹 2024. 10. 12. 00:01
스키마는 '이렇게 해야 해'라고 규칙을 정해놓는 거랑 비슷한 거다.그 XML 파일이 '어떻게 생겨야 하는지', '어떤 데이터가 들어가야 하는지' 알려주는 일종의 설명서다. 그럼 DTD도 비슷한 것 같은데 이 둘의 차이는 뭘까?DTD와 XML 스키마 둘 다 XML 문서의 구조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하지만 DTD는 아주 오래되고 구식이다. XML 스키마는 좀 더 최신식이고 강력하다. DTD는 문자열 타입만 제대로 지원해서 복잡한 데이터 타입을 다루는 데는 한계가 있다. XML 스키마는 숫자, 날짜 같은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지원해서 더 유연하고 강력하다.DTD는 아주 단순하고 텍스트 기반이고, 간단한 규칙만 정의할 수 있는데,XML 스키마는 XML 자체로 작성되어 더 정교하고 복잡한 규칙을 정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