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XAMPP란?컴공지식/웹 2024. 8. 27. 13:46
XAMPP는 개발자들이 로컬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테스트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웹 서버 환경을 제공해주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다. 웹사이트나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려면, 서버,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PHP 같은 서버 사이드 스크립팅 언어가 필요한데 XAMPP는 이런 것들을 한 번에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툴셋이다. XAMPP의 각 이니셜을 알아보자X - X는 크로스 플랫폼을 의미한다.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작동할 수 있다.A - Apache. 웹 서버다. 웹사이트를 로컬에서 서버로 호스팅할 수 있게 해준다. M - MySQL(혹은 마리아DB).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웹사이트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P - PHP. 서버 사이드 스크립팅 언어다. ..
-
MVC란?컴공지식/웹 2024. 8. 27. 13:39
MVC(Model-View-Controller)는 웹 애플리케이션 같은 걸 만들 때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이다.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구조적으로 나누어서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게 해준다. Model은 데이터와 로직, View는 화면에 보여줄 부분, Controller는 둘 사이를 연결해 준다.특히 Controller는 Model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View로 보내주고, 사용자로부터의 반응을 받아서 Model에 다시 반영하는 역할을 한다. 중간에서 모든 걸 조율하는 거다. 이렇게 나누면 나중에 수정할 때도 더 편하고, 유지보수하기도 쉬워진다. MVC 사용 예 Model (모델) - 이름, 이메일, 비밀번호 같은 것들. 이 정보들은 어디에 저장될까? 바로 Model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데..
-
하이레벨 랭귀지 vs 로우레벨 랭귀지컴공지식/잡지식 2024. 8. 27. 13:18
하이레벨 랭귀지는 우리에게 더 친숙한 언어로 컴퓨터로 명령시킬 수 있는 언어를 얘기한다. 로우레벨 랭귀지는 컴퓨터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얘기한다. "요리해줘" 라는 말은 우리에게 익숙하다.하지만 컴퓨터에게는 다음과 같이 말해야 더 잘 알아듣는다.그러니까 "요리해줘"가 이제 하이레벨 랭귀지고저런 1100 0110 가 로우레벨 랭귀지다. 컴파일러는 이런 하이레벨 랭귀지를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로우레벨 랭귀지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
선형 회귀 모델이란?경제 2024. 8. 27. 00:27
여러 변수를 조합해서 최선의 선(라인)을 찾아내는 건데, 이 선이 모든 결과를 예측해주는 거다. 자신이 아이스크림 가게를 운영하고 있다고 생각해봐라매일 얼마나 아이스크림을 팔았는지(이게 독립 변수야)와 그날의 매출(이게 종속 변수) 사이의 관계를 알고 싶어졌다.당연히, 아이스크림을 많이 팔수록 매출이 올라간다. 독립 변수 (x) - 루에 팔린 아이스크림의 수종속 변수 (y) - 그날의 총 매출 이제 선형 회귀 모델은, "얼마나 많은 아이스크림을 팔았는지(x)와 그에 따라 매출이 얼마나 나왔는지(y)를 가장 잘 설명하는 직선을 찾아보자"라는 거다. 이 직선은 이렇게 생겼을 거다.y = mx + cm은 내가 아이스크림 하나 팔 때마다 매출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보여주는 기울기c는 내 가 아이스크림을 한 개도..
-
XML이란?컴공지식/웹 2024. 8. 27. 00:11
XML은 모든 것을 태그로 감싸는.. 일기장 같은 것이다.대충 아래와 같은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2024-08-27 게임 혼자 허무함 이런 XML은 왜 쓸까? 바로 컴퓨터를 더 잘 이해시키기 위해 쓰는 것이다.컴퓨터는 글자만 잔뜩 있는 글보다는 뭔가 구조화된 정보를 훨씬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그 구조화를 도와주는 게 바로 XML이다. 위처럼 태그로 감싸주면, 컴퓨터는 "아, 이건 날짜구나", "이건 장소구나", "이건 혼자 있었단 말이구나" 하고 딱딱 정보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니까 XML 태그를 사용하면 컴퓨터가 이 정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거다. XML은 HTML과 굉장히 비슷하게 생겼다.그럼 과연 무슨 차이가 있느냐?XM..
-
매출과 주당순이익(EPS)의 관계경제 2024. 8. 19. 12:25
매출은 회사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팔아서 벌어들인 총 수입이다. 하지만 이건 순이익이 아니다.매출에서 모든 비용(운영비, 원가, 세금 등)을 빼야만 순이익이 나온다. 주당순이익(EPS)는 회사의 순이익을 총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이다.한 주당 얼마나 많은 이익이 발생했는지를 보여주는 거다. EPS가 높을수록, 그 회사가 돈을 잘 벌고 있다는 의미다. 매출이 증가하면 EPS도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하지만 매출이 늘었다고 해도 비용이 더 많이 늘어나거나, 이익률이 낮아지면 매출이 늘어도 EPS는 크게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매출 대비 비용 구조가 중요하다.예를 들어, 두 회사가 모두 1,00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해도, 한 회사는 비용이 900억 원이고, 다른 회사는 700억 원이라면, 당연히 순이익과..
-
PSR이란?경제 2024. 8. 19. 12:16
PSR(Price to Sales Ratio)은 주가매출비율이다.매출 대비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를 보여주는 지표다.주식을 살 때, 그 회사의 매출 1원당 얼마를 지불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만약에 1년에 100만원의 수익을 내는 떡볶이 가게를 1000만원 주고 산다고 하면 1000/100 = 10즉 PSR이 10배다.매출 1원당 10원을 주고 가게를 사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낮은 PSR은 매출 대비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높은 PSR은 고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지표도 마찬가지로 같은 사업군끼리 비교하는게 좋다.뭐 산업 특성과 성장성 고려는 당연한 이야기이고..
-
ROE란?경제 2024. 8. 19. 12:04
ROE는 Return on Equity로 회사가 자기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해서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즉 자기자본이익률이라는 것이다. 만약 어떤 회사가 100만원으로 1년 동안 순이익 10만원을 벌었으면 ROE는 10%가 되는 것이다. 주식으로 보면, ROE가 높다는 건 그 회사가 주주의 돈(자본)을 아주 잘 굴려서 많은 이익을 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즉, 주주 입장에서는 "아, 이 회사에 투자하면 내 돈을 잘 불려주겠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는 거다. 하지만 ROE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만약 회사가 빚을 잔뜩 내서 수익을 냈다면, 그건 위험 신호일 수 있다.. 그러니 부채비율도 함께 살펴보자잠깐의 호재로 ROE가 높게 나온 회사보다는 지속적으로 ROE가 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