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비디오의 total bit 구하기컴공지식/컴퓨터비전 2024. 8. 30. 00:03
다음과 같은 비디오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Intensity level이 256이니 1 픽셀 당 적어도 8비트가 필요하다. 이 8비트는 픽셀의 1개의 채널에 할당된다.그리고 Color video이니 픽셀은 총 3개의 채널이 되는데, 그러면 한 채널당 8비트이니 8 * 3 = 24 비트가 된다.FHD는 1920*1080 픽셀이니 나중에 이 값을 끼워넣어주고1시간을 초로 바꾸어 3600초임을 구해준다.그리고 1초당 30 프레임이니 30을 곱해야 한다. 따라서 8*3*1920*1080*3600*30 = 5,374,771,200,000 bits라는 값이 나오게 된다. 즉 625.70GB가 나오게 된다.
-
Intensity level이란?컴공지식/컴퓨터비전 2024. 8. 29. 23:49
intensity level은 각 픽셀이 얼마나 밝거나 어두운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은 보통 2의 거듭제곱 형태로 나타나는데 한 번 식을 살펴보자L = 2^k 식은 이미지가 가질 수 있는 그레이스케일(흑백) 레벨의 수를 의미한다.그리고 여기서 k는 채널 하나당 비트 수를 말한다.예를 들어, RGB 이미지에서 채널이 3개인데,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각각의 채널에 대해 비트 깊이가 k다.만약 k가 8이라면 각 채널이 8비트니까 2^8 = 256가지의 값, 그러니까 256가지의 밝기를 표현할 수 있는 거다.이럴 경우 총 표현할 수 있는 색깔은 256(R) * 256(G) * 256(B) = 16,777,216가지다.만약 4채널일 경우 256^4 일 것이다. 우리가 보는 흑백 이미지의 픽셀 값은보통 ..
-
JSP란?컴공지식/웹 2024. 8. 27. 13:54
JSP(JavaServer Pages)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자바(Java)를 기반으로 하는 웹 기술이다. JSP 파일은 기본적으로 HTML 코드 안에 자바 코드를 삽입해서 작성한다.서버가 JSP 페이지를 요청받으면, 그 안에 있는 자바 코드를 실행하고, 결과를 HTML로 변환해서 사용자에게 보내준다.그럼 사용자는 동적인 웹 페이지를 볼 수 있게된다. 아래는 간단한 예시다. 안녕, ! 여기서 이 부분이 자바 코드다.사용자가 "username"이라는 파라미터를 보내면, 그 값을 받아와서 HTML에 삽입해 준다.그래서 사용자는 자신의 이름이 적힌 맞춤형 페이지를 보게 된다.
-
XAMPP란?컴공지식/웹 2024. 8. 27. 13:46
XAMPP는 개발자들이 로컬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테스트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웹 서버 환경을 제공해주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다. 웹사이트나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려면, 서버,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PHP 같은 서버 사이드 스크립팅 언어가 필요한데 XAMPP는 이런 것들을 한 번에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툴셋이다. XAMPP의 각 이니셜을 알아보자X - X는 크로스 플랫폼을 의미한다.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작동할 수 있다.A - Apache. 웹 서버다. 웹사이트를 로컬에서 서버로 호스팅할 수 있게 해준다. M - MySQL(혹은 마리아DB).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웹사이트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P - PHP. 서버 사이드 스크립팅 언어다. ..
-
MVC란?컴공지식/웹 2024. 8. 27. 13:39
MVC(Model-View-Controller)는 웹 애플리케이션 같은 걸 만들 때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이다.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구조적으로 나누어서 더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게 해준다. Model은 데이터와 로직, View는 화면에 보여줄 부분, Controller는 둘 사이를 연결해 준다.특히 Controller는 Model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View로 보내주고, 사용자로부터의 반응을 받아서 Model에 다시 반영하는 역할을 한다. 중간에서 모든 걸 조율하는 거다. 이렇게 나누면 나중에 수정할 때도 더 편하고, 유지보수하기도 쉬워진다. MVC 사용 예 Model (모델) - 이름, 이메일, 비밀번호 같은 것들. 이 정보들은 어디에 저장될까? 바로 Model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데..
-
하이레벨 랭귀지 vs 로우레벨 랭귀지컴공지식/잡지식 2024. 8. 27. 13:18
하이레벨 랭귀지는 우리에게 더 친숙한 언어로 컴퓨터로 명령시킬 수 있는 언어를 얘기한다. 로우레벨 랭귀지는 컴퓨터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얘기한다. "요리해줘" 라는 말은 우리에게 익숙하다.하지만 컴퓨터에게는 다음과 같이 말해야 더 잘 알아듣는다.그러니까 "요리해줘"가 이제 하이레벨 랭귀지고저런 1100 0110 가 로우레벨 랭귀지다. 컴파일러는 이런 하이레벨 랭귀지를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로우레벨 랭귀지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
선형 회귀 모델이란?경제 2024. 8. 27. 00:27
여러 변수를 조합해서 최선의 선(라인)을 찾아내는 건데, 이 선이 모든 결과를 예측해주는 거다. 자신이 아이스크림 가게를 운영하고 있다고 생각해봐라매일 얼마나 아이스크림을 팔았는지(이게 독립 변수야)와 그날의 매출(이게 종속 변수) 사이의 관계를 알고 싶어졌다.당연히, 아이스크림을 많이 팔수록 매출이 올라간다. 독립 변수 (x) - 루에 팔린 아이스크림의 수종속 변수 (y) - 그날의 총 매출 이제 선형 회귀 모델은, "얼마나 많은 아이스크림을 팔았는지(x)와 그에 따라 매출이 얼마나 나왔는지(y)를 가장 잘 설명하는 직선을 찾아보자"라는 거다. 이 직선은 이렇게 생겼을 거다.y = mx + cm은 내가 아이스크림 하나 팔 때마다 매출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보여주는 기울기c는 내 가 아이스크림을 한 개도..
-
XML이란?컴공지식/웹 2024. 8. 27. 00:11
XML은 모든 것을 태그로 감싸는.. 일기장 같은 것이다.대충 아래와 같은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2024-08-27 게임 혼자 허무함 이런 XML은 왜 쓸까? 바로 컴퓨터를 더 잘 이해시키기 위해 쓰는 것이다.컴퓨터는 글자만 잔뜩 있는 글보다는 뭔가 구조화된 정보를 훨씬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그 구조화를 도와주는 게 바로 XML이다. 위처럼 태그로 감싸주면, 컴퓨터는 "아, 이건 날짜구나", "이건 장소구나", "이건 혼자 있었단 말이구나" 하고 딱딱 정보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니까 XML 태그를 사용하면 컴퓨터가 이 정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거다. XML은 HTML과 굉장히 비슷하게 생겼다.그럼 과연 무슨 차이가 있느냐?X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