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PBR이란?경제 2024. 8. 19. 00:55
집을 사려고 한다고 상상해보자. 그런데 그 집의 실제 건물 가치(건축 비용, 토지 가치 등등)가 1억 원이라고 해보자 그런데 누군가가 그 집을 2억 원에 팔려고 한다. 그러면 PBR이 2가 되는거다. 즉, PBR 2란 "집값이 실제 가치보다 2배 비싸게 책정됐다"는 의미이다. PBR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BPS)로 나눈 값이다. 여기서 순자산가치(BPS)란,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뺀 순수한 자산의 가치를 말한다. PBR이 1보다 크다는 것은 주가가 회사의 순자산가치보다 더 높게 평가되고 있다는 뜻이다. PBR이 1보다 작다는 것은 시장에서 그 회사가 저평가되고 있다는 뜻이다. 즉, 1억 원짜리 집을 5천만 원에 팔려고 하는 상황인거다. 이럴 때는 시장에서 그 회사가 잘 안 될 것 ..
-
괴리율이란?경제 2024. 8. 19. 00:39
비유하자면, 인터넷에서 할인된 가격으로 상품을 주문했는데, 막상 매장에 가서 확인해보니 매장 가격이랑 다를 때가 있지 않은가? 그 차이가 바로 괴리율이다. 즉 실제 가격과 기대 가격의 차이를 괴리율이라고 한다. 주식이나 ETF에서의 괴리율:ETF 같은 경우, ETF의 실제 거래 가격과 기초 자산의 실제 가치(NAV, 순자산 가치) 사이의 차이를 괴리율이라고한다. 왜 괴리율이 발생할까?어떤 ETF가 인기가 많아지면 사람들이 더 많이 사려고 하니까, 실제 가치보다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NVDX ETF와 괴리율 11%를 예로 들어보자ETF를 이전 포스트에서 주식 꾸러미라고 했었다.NVDX는 엔비디아 주식을 한데 묶은 주식 꾸러미라고 생각하면 된다.이 꾸러미의 실제 가..
-
시가총액이란?경제 2024. 8. 19. 00:21
시가총액이란 회사의 주식 가격에 주식 수를 곱한 값이다.(주가*주식 수) 그러니까 즉 한 회사의 주식 총가치인 것이다. 시가총액에 따른 분류로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가 있다. 대형주는 시가총액이 100억 달러 이상인 회사. 안정적이고, 대부분 글로벌하게 운영되며,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낮다.(큰 배는 천천히 흔들린다)중형주는 20~100억 달러, 성장 가능성이 있지만, 대형주보다는 조금 더 리스크가 있다.소형주는 20달러 이하이고 리스크가 좀 크다. 다만 시가총액이 큰 회사에는 거품이 끼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시장에서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기 어려울 수도 있으니 신중하게 투자하자.
-
PER이란?경제 2024. 8. 18. 23:54
PER(Price-to-Earnings Ratio)은 주식 가격 대비 그 회사의 성능이 얼마나 좋은지의 가성비를 나타내는 수치다.(주시가격/회사 성능) PER이 낮다는 건 주가에 비해 그 회사가 버는 돈이 많다는 뜻이고 반대로 PER이 높다는 건 같은 돈을 내는데 그에 비해 얻는 게 적다는 의미다. 그러니까 PER이 낮은 회사는 가성비가 좋은 회사인 것이다. 예를 들어 술을 파는 회사를 생각해보자. 술이야 언제나 꾸준히 팔린다. 그러니 PER이 낮게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무조건 기업을 PER로 판단하기에는 많은 변수가 있다. PER이 낮다면 무조건 좋을 것 같지만 그 기업이 앞으로 더 성장할 여지가 없을 수도 있다.. 갑자기 사람들이 술을 두세배 더 많이 마시기 시작할 것 같은가? ㅋㅋㅋㅋ 그리고..
-
Vuetify의 기본 스페이싱 단위카테고리 없음 2024. 8. 13. 14:14
vuetify에서 패딩이나 마진같은 것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클래스를 제공하고 있다.일단 뷰티파이의 기본 스페이싱 단위는 4의 배수이다.만약 마진-2 혹은 패딩-3이라고 하면 각각 4*2=8px, 4*3=12px이 마진이나 패딩 처리되는거다.예를 들어 이렇게 입력을 한다고 하면 6*4=24px이 패딩된다.우리가 굳이 css에 padding: 24px; 을 입력할 필요가 없어진다.css적으로 굉장히 깔끔해지니 많이 이용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주요 포인트4*npx임css 굳이 추가 안해도 됨
-
reduce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자개발/vue.js 2024. 8. 12. 14:11
reduce는 for문과 비슷한 함수다. 대신 for문보다 좋은게 더 가독성이 좋고 어쩌면 더 최적화된 함수라는 것이다. 배열에 있는 모든 값에 대한 연산을 할 때 reduce만한게 없는 것 같다. 예시로 살펴보자. totalTables() { return this.tables.reduce((sum, table) => sum + (table.count || 0), 0);} 위 함수는 전체 테이블의 수를 계산하는 함수이다.다음과 같은 함수를 computed에 넣었다고 해보자여기서 this.tables는 배열이다.그리고 table은 그 배열 안의 요소이다.(sum, table)이 부분은 인자다.=> 이것은 한줄 로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만약에 여러줄 로직이면 { ~~~~ } 이렇게 쓸 것이다....